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info-3309 님의 블로그

스테이블코인, 쉽게 이해하기: 왜 1달러에 가깝게 움직일까? 본문

화폐혁명

스테이블코인, 쉽게 이해하기: 왜 1달러에 가깝게 움직일까?

info-3309 2025. 10. 3. 01:15

스테이블코인 쉽게 이해하기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핵심 개요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만든 디지털 토큰이다. 보통 미국달러(1달러) 에 맞춰 움직이며, 암호화폐의 빠른 전송·24시간 결제 장점을 살리면서도 변동성을 낮춘다. 거래소·지갑·디파이(DeFi)에서 기본 결제 단위 역할을 하고, 국경 간 송금·온체인 결제에도 쓰인다.

왜 1달러를 지키나 — 작동 원리

  1. 상환권: 발행사가 “토큰 1개 ↔ 1달러” 교환을 열어둔다. 가격이 1달러 아래면 사서 상환해서 차익, 위면 발행해 팔아 차익을 얻는 참여자가 생겨 자연히 복귀한다.
  2. 준비금/담보: 준비금형은 현금·예금·단기국채로 1:1을 받치고, 온체인 초과담보형은 예치 담보가 발행량보다 크도록 설계해 급락 시 자동 청산으로 방어한다.
  3. 유동성: 거래소·AMM 풀이 깊으면 순간 충격이 작아 탈페그 기간이 짧다.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종류

  • 준비금형(법정화폐 담보): 발행사가 은행·커스터디에 현금·단기국채를 보관하고 1:1 발행·상환. 장점: 단순·안정. 단점: 발행사/은행 신뢰·규제 리스크.
  • 초과담보형(온체인 담보): 스마트컨트랙트에 ETH/LST 등을 담보로 걸고 담보가치 > 발행량 유지. 장점: 온체인 투명성, 무허가 접근. 단점: 담보 급락 시 청산·슬리피지.
  • 알고리즘/하이브리드형: 발행·소각, 보조토큰 등 시장 규칙으로 1달러를 추적(최근엔 부분 준비금+알고리즘 혼합이 주류). 장점: 자본 효율. 단점: 충격 시 탈페그 위험.
  • 실물자산(RWA)·원자재 담보형: 단기국채·현금성 자산을 온체인으로 반영하거나, 금/유로 등 비달러 자산을 추종. 장점: 준비금 수익+다변화. 단점: 감사·공시·법적 구조 복잡.

어디에 쓰나

  • 송금·결제: 프리랜서 대금, B2B 정산, 이머징 국가의 온체인 달러 저장수단.
  • 디파이: 대출·파생·유동성 풀의 기축 자산.
  • 거래소 기준 통화: BTC/ETH 가격을 달러 단위로 표시·헤지.

무엇이 위험한가

  • 준비금/커스터디: 만기 미스매치, 특정 은행 쏠림, 상환 지연.
  • 스마트컨트랙트: 버그·오라클 오류·과도한 권한(업그레이드 키).
  • 규제/제재: 주소 동결·상환 제한 이슈.
  • 시장 구조: 특정 체인·풀에 유동성 집중 시 가격 이탈 확대.

2025-10-02 기준 시총 상위 스테이블코인 (미국달러 페그, 대표 예시)

  • ① 테더(USDT)$175.8B — 최대 점유. 준비금형. CoinGecko
  • ② USD 코인(USDC)$74.1B — 규제 친화 채널(커스터디/상환 인프라) 확장. CoinGecko
  • ③ 에테나 USDe (USDe)$14.8B — 합성 달러·수익 메커니즘 기반. 설계 리스크 상이. CoinGecko
  • ④ 다이(DAI)$4.6–5.1B — 온체인 초과담보형(점차 RWA 비중↑). CoinGecko+1
  • ⑤ USD1 (World Liberty Financial)$2.68B — 신흥 발행 모델(세부 구조·공시 확인 필요). CoinGecko
  • ⑥ 페이팔 USD(PYUSD)$2.43B — 결제 네트워크 연계 강화. CoinGecko+1
  • (참고) FDUSD$1.1B(변동) — 거래소 결제 생태계 연계. CoinMarketCap+1

총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된다(데이터 제공사에 따라 소폭 차이). CoinGecko+2Morgan Stanley+2

신뢰 점검 체크리스트(간단)

  • 준비금 구성·만기·보관기관어테스테이션/감사 주기
  • 상환 속도·수수료·한도(과거 상환 중단 이력)
  • 컨트랙트 감사보고서·오라클 다중화·거버넌스 권한
  • 거래소·온체인 풀의 유동성 깊이(체인 분산도)

용어정의

  • 페그(Peg): 토큰 가격을 1달러 근처로 유지하려는 약속/장치(상환·아비트라지·유동성).
  • 상환(Redemption): 토큰을 돌려주고 현금·담보를 받는 절차.
  • 담보비율: 담보가치 ÷ 발행량(100% 초과가 안전).
  • 온/오프램프: 법정화폐↔온체인 전환 통로(은행·결제망·커스터디).

핵심 정리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의 달러” 로, 강점은 빠른 결제·낮은 수수료·24시간 접근성이다. 다만 상환권의 실효성·준비금 투명성·보안·규제 준수가 뒷받침되어야 탈페그 스트레스를 견딘다. 상위 토큰이라도 구조와 공시가 모두 동일하지 않다—항상 준비금·상환·감사·유동성을 체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