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62)
info-3309 님의 블로그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1923)은 전쟁배상·재정적자·정치 혼란이 맞물려 통화가치가 붕괴한 사건이다. 독일은 1923년 말부터 통화·재정·정치를 함께 묶은 패키지로 급락을 멈췄다. 아래는 핵심 타임라인과 정책 요지, 오늘의 교훈이다. 핵심 타임라인1923.1–8: 루르 점령, ‘수동 저항’ 비용으로 재정 급악화, 화폐발행 가속.1923.11: 렌텐마르크(Rentenmark) 도입—농지·공장 담보 기반 어음에 연동, 발행한도 엄격.1924.4: 라이히스마르크(Reichsmark) 정식 도입, 중앙은행 규율 강화.1924–1925: 재정 균형화·세제 정비와 함께 외채구조조정(Dawes Plan) 진행.정책 패키지의 구성재정: 적자국채·중..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화폐개혁(리디노미네이션)은 표시 단위 재설정이고, 시그니어리지는 화폐를 발행할 때 생기는 발행이익입니다. 둘은 이름이 비슷해 혼동되지만, 목적·회계처리·경제효과가 완전히 다릅니다.핵심 개념 요약시그니어리지: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해 얻는 이익(무이자 부채인 현금 vs 이자수익 자산의 차이).화폐개혁: 금액 표기를 바꾸는 제도 설계로 실질가치 불변이 원칙.결론: 화폐개혁은 숫자 체계, 시그니어리지는 발행수익의 문제다.시그니어리지란 무엇인가중앙은행은 지폐를 발행하면서 그 대가로 국채·대출 등 이자수익 자산을 보유합니다. 반면 지폐 자체는 이자를 주지 않는 부채입니다. 이 자산수익–부채비용의 차이가 연간 시그니어리지이며, 회계상 잉..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화폐개혁(특히 리디노미네이션)은 표시 단위 재설정이고, 통화정책은 경기를 다루는 수단이다. 둘은 목적과 레버가 다르지만 전환기의 심리와 기대 인플레이션을 관리한다는 점에서 맞물린다. 핵심 개념 요약화폐개혁: 표기 단위를 새로 정해 금액을 일괄 재표시(가치 보전 원칙).통화정책: 기준금리·유동성·신용 규제로 총수요·물가 기대를 조정.결론: 단위 전환은 물가의 직접 도구가 아니며, 물가안정은 결국 통화·재정·기대관리의 몫이다.정책 간 역할 분담화폐개혁은 회계·결제 단순화와 커뮤니케이션 명확화가 목표다.통화정책은 물가·고용 경로를 겨냥해 금리·통화량·신용 기준을 조정한다.전환기에는 두 정책을 동시에 설명하여 “숫자가 달라져도 구매력..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화폐단위를 바꾸면 숫자가 작아지니 체감상 물가가 떨어진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경제에서 중요한 것은 표시(명목) 가 아니라 구매력(실질) 입니다. 이 글은 두 개념을 간단한 예시와 점검표로 구분하고, 뉴스나 정책 발표를 읽을 때의 체크포인트를 제공합니다.핵심 개념 요약명목(Nominal): 화폐로 기록된 표시 금액. 단위 변경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실질(Real): 구매력을 반영한 가치. 동일한 바구니를 살 수 있는지로 판단한다.결론: 단위가 바뀌어도 바구니가 같다면 실질은 같다.왜 오해가 생기나?숫자 축소의 착시: 10,000이 10으로 표기되면 싸진 것처럼 보이는 자리수 효과.반올림/환산 규칙 미고지: 소수점 처리 기준이..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화폐단위 변경은 표시 방식의 재설정이다. 구매력 자체를 자동으로 바꾸지는 않지만, 현장에서는 표시 전환·거래 관성·행동 편향·법·세무의 네 갈래를 통해 체감 변화가 나타난다. 아래에서는 가격·임금·부채·세금의 주요 경로를 한 번에 살펴본다. 전달 경로 지도표시 전환 채널: 가격표·계약서·전산계정이 새 단위로 재기록되며 초기 인지비용과 실수 위험이 존재한다.거래 관성 채널: POS·청구·급여 시스템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필요해 일시적 지연이나 학습 비용이 발생한다.행동 편향 채널: 숫자 축소가 저가 인식을 부를 수 있어 규범·감시가 없다면 편승 인상 유인이 생긴다.법·세무 채널: 과세표준·공제·상한의 동일한 환산 규칙이 필요하며..
면책: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이며, 투자·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화폐 단위를 다루는 정책은 비슷해 보이지만 작동 원리와 목표가 다릅니다. 이 글은 리디노미네이션(표시 단위 재설정) 과 디모네티제이션(대상 권종 한정 교체) 을 한눈에 비교해, 무엇이 바뀌고 왜 시행하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핵심 개념 요약리디노미네이션: 화폐 표시 단위를 재설정하여 자릿수를 정리하고, 가격·임금·세금·계약 등 모든 금액을 새 기준으로 일괄 재표시디모네티제이션: 특정 권종의 법정통화 지위를 중지하고 교환·회수로 대체(= 대상 권종 한정 교체)공통점: 체감 변화가 크지만, 물가를 직접 낮추는 장치가 아님 핵심 개념 요약리디노미네이션: 자릿수가 많은 화폐 체계를 정리하기 위해 표시 단위를..